안녕하세요
2월 21일인가 제 첫 자격증인 ADsP 시험을 봤습니다.
준비과정은 2주? 정도 였구요. 사실 준비하고 있던 직무 공고들 마감일이 몰려 있는 바람에 그거 처리하느라... 사실상 준비한 기간은 대략 일주일 정도 됩니다.
준비한 기간이 짧아서 사실 4월에 한번 더 볼 마음으로 준비했습니다..
뭐 합격 결과가 나왔다면 일주일이어도 해요~ 라고 당당히 말할텐데.. 아직 가채점 결과가 안나와서 일단 후기부터 적어보려고 합니다.
일단 공부는 두 가지 수단으로 했습니다.
1. IT Dapter 유튜브
https://youtu.be/6h6Dsh6IMgA?si=epWElkFIa7J6B-H6

이분꺼 강의가 첫 틀 잡는데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스카가서 2시간만 딱 집중해서 강의 들으면 아 어떤 내용이 나오는구나를 딱 감을 잡으실 수 있어요.
대신 운이 안좋게도 제가 봤던 44회 시험부터 시험 구성이나 그런게 전반적으로 확 바뀌었다고 하더라구요.
시험장에서는 내가 공부를 적게 했구나 생각했는데,, 그런게 아니라 그냥 다들 어려웠다고 합니다.
저 유튜브 강사님도 시험 끝나고 44회 시험 변동 상황에 대해 설명하는 글을 올리셨더라구요..
한마디로 그냥 다 같이 예상도 못하고 망한거라고 보면 되겠죠
이제부터 ADsP 시험은 아마 벼락차기가 힘들 수도 있을거같아요...
(물론 저 강사님이 새로운 강의 자료랑 전략 업데이트 해주시면 달라질수도)
2. 교재
인터넷 보니 다들 미어캣 교재를 쓰더라구요?
근데 저는 서점에 가니 없어서 그냥 에듀윌꺼 2주 완성 책 사서 공부했습니다.
에듀윌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ADsP 교재 : 합격이 빠르다
[합격이 빠르다] 고퀄리티의 깔끔한 분철! 좋은책, 빠른배송으로 보답드리겠습니다 ^^
smartstore.naver.com
앞에 2주 동안의 계획서가 있어서 굳이 혼자 계획을 만들지 않아도 되서 편했고
문제도 많아서 좋았어요
3. 공부 방법
앞에서 말씀 드린 것 처럼 일단 유튜브 강의로 큰 틀을 잡았습니다.
이때 강의를 들으시면서 내용정리를 하면 좋습니다.
저는 인터넷에 있는 다른 분 요약 정리 본 프린트해서 거기에 내용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써가며 정리했습니다.
참고로 저 유튜브 강사님도 본인 자료 PDF로 쓸 수 있도록 업로드 해주시긴 했는데 7,000원인가? 돈 내야 해서
저는 인터넷에서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는 자료로 찾아서 했습니다.
ADsP 기출문제 및 요약 모음_2023
1. 요약 2. 15~22회 기출문제 3. 21~35회 단답형 4. 기출모의 5. 36회 기출복원 ⭐️ 문제 풀어보기 https://quizlet.com/de/377992872/adsp-part3-flash-cards/
selgii.tistory.com
https://data-fox.tistory.com/45
[ADSP]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 벼락치기 요약본 pdf
내일 보는 ADSP 벼락치기..나같은 사람들을 위하여 올리는 요약본근데 책을 한번 읽고 요약본을 보는게 도움이 된다특히 2과목은 봐도봐도 헷갈리기 때문 오타랑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
data-fox.tistory.com
이렇게 한 뒤에는 책으로 넘어갑니다.
일단 먼저 기출 1회만 풀어서 출제 방식이 어떤지 좀 봤습니다.
이때 당연히 다 틀립니다. 특히 3과목은.. 거의 장마입니다.
근데 제가 정보학 전공이라 그런지 1,2과목은 합격 기준치 넘기게 풀었더라구요..저도 놀랐습니다..
암튼 이렇게 음 이런거 물어보는구나 한 뒤에 바로 개념 1회독을 합니다.
이때 중요한건 단원마다 책에 반드시 알아야 할 포인트가 옆에 작게 써있는데 그걸 반드시 참고해서 공부하는게 중요해요.
어느 부분이 중요한지, 출제 빈도가 높은 개념이 뭔지 알려줘서 버릴거 버리고 숙지할거 숙지해가며 빠르게 필요한 부분만 공부할 수 있었어요. 특히 각 1,2,3 단원 시작할 때 마다 맨 앞에 단원별 중요도와 출제 경향도 알려주니까 그거 꼭 읽으시고 공부 시작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다음은 개념 2회독 입니다.
이떄는 좀 속도가 붙어야 돼요 왜냐,
시간이 없거든요...
그냥 훅훅 중요한 부분만 다시 읽고, 작은 개념 문제들이 있거든요? 그거 좀 풀고 넘어가는 방식으로 넘기셔야 합니다.
이걸 끝내면 뒤에 있는 기출을 최대한 다 풀고 간다는 마인드로 푸셔야 합니다..
기출을 풀면 아마 R 해석하는 부분이나 표를 이용해서 계산하는 부분이 많이 어려우실 텐데
이거는 앞서 말씀드린 유튜버 강사님 풀이를 꼭꼭! 참고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저는 강사님 문제풀이 방법이 정말 도움이 많이 됐고 실제로 기출 풀면서도 많이 맞추기도 했고 그 만큼 시험에서 자신감있게 풀 수 있었습니다.
중요한게 틀린 문제, 맞춘 문제 구분 없이 기출 풀고 난 뒤에는 무조건 해설지를 정독해요.
그리고 몰랐던 부분이나 채워야할 개념을 앞서 정리한 요약 정리 노트에 적어둡니다.
이러면 시험에 들고갈 자료가 완성이 돼요!
정리하자면
1. 유튜브로 전체 틀 잡기 & 강의 들으며 요약 정리 PDF에 내용 추가
2. 기출 1회 풀고 해설지 보며 문제 형태 파악
3. 개념 1회독
4. 개념 2회독 + 작은 개념 문제 풀기
5. 기출 풀기 + 해설지 정독하며 요약 정리 PDF에 내용 추가
이렇게 하시면 그래도 공부했다! 생각이 드실겁니다.
4. 꿀팁
무조건 목차 정리를 하십시요..
개념 1회독 까지 하시면 분명 대충이라도 개념이 머릿속에 들어와 있는 상태일거에요.
근데 저는 이게 정리가 안되더라구요
기출 풀어보면 "어, 이거 아는 개념인데..어디서 나왔던거더라" 하는 거죠.
머릿속에 개념 간의 연결망이 없는게 문제였어요.
1,2,3단원 내 목차를 정리하면서 그 안에 있는 키워드만 써서 각 개념을 연결 시켜야합니다.
예를 들자면, 3단원에서
- 통계자료 획득 -> (1) 전수조사 (2) 표본조사
- (2) 표본 조사 -> 표본 추출 방법 5가지 존재
= 표본추출 방법 5가지는 3단원 통계자료 획득 방법에서 나온 개념
이렇게 키워드를 연결시키면 개념이 더 잘 기억되더라구요.
특히 시험 문제에서 특정 단어 주고 "개념 설명에 대해 옳지 않은 것은?" 고르라고 할 때
맞고 틀린거 쳐내기가 쉬워집니다 :)
꼭! 목차 정리 하고 시험장 들어가세요
적어도 1,2,3단원 했을때 각 단원에서 어떤 개념이 나왔는지 떠올릴 수 있으셔야 합니다.
시험 후기
저는 44회 시험 봤는데요
진짜 개어려웠어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너무 말장난이 심하더라구요..
똑같은 의미인데 다른 단어를 써서 틀린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거나
정말 세세하게 개념을 공부하지 않으면 무조건 헷갈리게...출제를 했더라구요
저는 좀 얍삽하다고 느껴졌습니다.
그리고 좀 찾아보셨다면 아시겠지만 아마 대부분 1,2단원 쉬우니까 빨리 넘기고 3단원 어려우니까 여기에 집중하라고 할거에요..
저는 이렇게 준비하신 분들 44회 시험에서 멘붕 많이 오셨을거라고 생각해요.
3단원은 뭐 예상대로 어려운거지만 1,2,단원은 예상외로 개념이 너무 헷갈렸거든요..
옳은 거 고르라고 하면 5개 중에서 3개는 별표였어요..
대충 공부했다가 만만하게 본 1,2에서 과락 나옵니다.. 조심하세요.. 😭
암튼 이렇게 변한건 이제 아마 출제자들도 이제 사람들이 ADsP 쉬우니까 야매로 공부하고 취득해가는구나
느낀거겠죠..
근데 그게 왜 하필 제가 본 시험 때 첫 스타트를 끊으셨냐.. 따지고 싶지만..^^..
원래 1년 전에 봐야했어야 하는거 제가 게으름 피운거니까 ㅠ
제 잘못입니다..
이걸 본 여러분들은 꼭 지금! 생각나는 지금 당장 한방에 따세요.
미뤄봤자 자기 손해 입니다... 전 후회했어요..
결과 나오면 내용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궁금하신 내용 있다면 팔로우와 함께 언제든 댓글 남겨주세요 :)
성공해서 사회에서 만납시다!
Bye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애널리틱스(GA) 시작부터 최종 합격까지 (0) | 2023.07.10 |
---|